본문 바로가기
Study/Note

주식 / 제테크 입문 6

by tea 2024. 7. 20.
반응형


주식을 분류하는 기준
1. 회사의 규모
2. 회사의 업종

[회사의 규모]
1. 시가총액 : 회사가 현재 주식 시장에서 평가받는 가치
규모가 큰 기업의 경우
- 오랜 기간동안 꾸준한 수익을 보고 있을 가능성 높음
- 기존의 상품을 업그레이드하는 쪽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대기업의 주가 변동성은 낮은 편
- 폭발적인 상승세를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규모가 작은 회사 - 중소기업의 경우
- 성잘할 수 있는 범위가 방대하다
- 중소기업의 주가 변동성은 높은 편
-주식 시장에서 상장폐지되는 일도 빈번하지만, 잘 고르면 매우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음

투자 난이도
대기업: 풍부한 분석 자료 있음
중소기업: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분석, 업종부터 공부, 철저한 투자 전략 필수
중소기업의 투자 난이도가 더 높다.

업종으로 분류
버블: 회사의 가치보다 주식의 가격이 말도 안 되게 비싼 경우
-> 유망하다고 평가받는 업종이 매년 달라지기 때문.

실제로 가치가 상승하고 있어 주가가 오르는 것과,
가치는 변함이 없는데 주가만 상승한건 아닌지 분석해야 한다

 

필수 소비재
-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물건들을 만드는 회사로 가격 변동성이 낮다
- 치약, 과자, 옷, 음료수 등의 소비재
- 추가 성장 어려움
-> 미래에 벌어들일 자산보다 지금까지 얼마나 벌었는지, 회사의 규모가 얼마나 큰지에 따라 (주식 가격) 평가 기준이 결정된다.
- 시장 점유율에 민감
-> 기존의 시장 점유율을 뻇을 수 있을 정도로 혁신적인 제품은 소비재임에도 불구하고 급상승할 수 있다. (ex 몬스터)

 

기술주
- 첨단 기술이 접목된 주식
- 투자 비용이 적게 든다 : 공장보다는 인적 자원에 투자
- 회사 규모에 비해 수익률이 높다 : 개발과 판매비용이 적게 들기 떄문에 규모에 비해 큰 수익을 낼 수 있다.
- 쉽게 성장할 수 있고, 그만큼 시장 점유율도 쉽게 뺏길 수 있기 때문에 기술주의 가격 변동성은 높은 편

 

금융/통신사
- 수익은 높지만 성장률이 낮은 업종
- 신규 고객 유입이 거의 없음
- 성장 가능성이 낮은 업종은 높은 배당금을 지급한다 (미국의 경우도 비슷)

 

따라서 얼마나 큰지, 무엇을 하는지, 얼마나 투자할 수 있는지 잘 따져 보고 투자를 진행할 것.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