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Note

피부, 톤 보정 / 영상제작 17

tea 2024. 8. 15. 21:47
반응형


전체적으로 톤 다운된 차분한 느낌 - -0.2

다소 어두운 환경에서의 촬영에서 대비 값을 낮추면 부드러운 느낌이 연출되는 대신

노이즈가 생기는 느낌이 들 수 있다.

대신 대비값을 약간 올려서 명암대비를 주고, 

하이라이트 값을 올려서 조명의 밝은영역 부분을 강조해 준다.

어두운 부분은 더욱 어둡게 하고

화이트 값 또한 올려서 흰색 영역을 밝혀주고, 블랙도 약간 낮춰준다.

 

따듯한 느낌을 주기 위해 색온도값을 붉은색 쪽으로 조절해보고,

색조 tint 값은 분홍색으로

 

 

 

 

실내 촬영 색보정 creative

빛바랜 필름 값을 약간 올리고

선명도 값을 올려서 약간의 선명함을 더한다.

(생동감이나 섀도 값은 따로 조절 X

 

Color wheels 부분에서 중간 영역 미드톤은 주황색,

하이라이트의 좌측 밝기 조절을 통해

하이라이트 부분만 밝기를 약간 낮춰 준다.

 

 

 

피부 보색 설정 HSL Secondary


 set color 쪽에 스포이드

 

첫 번째 기본 스포이드를 통해 중간 톤 설정

색이 잘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 color / gray부분을 체크하고 우측 아이콘도 클릭

그리고 설정이 안 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스포이드로 더해보도록 한다.

 

 

이렇게 하다 보면 다른 부분의 색까지 설정되게 되니

우측의 -스포이드로 해당 부분을 콕 집어서 제외해주도록 하자.

 

아래의 HSL 조절

 

H는 Hue,

S는 saturation

L은 Lightness 를 의미

 

 

그리고 correction 부분에서

좌측의 조절도를 통해 선택 영역 부분의 밝기 조절 가능

너무 하얗게 되지 않도록 적당하게 조절하고,

blur로 회색영역의 경계를 조금 풀어준다.

값을 조금 올려주면 자연스럽게 보정됨.

 

원본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의 color / gray 를 모두 체크해제해 준다.

 

correcion부분 좌측 조절도를 통해

선택 영역 부분의 밝기를 조절 가능

 

 

 

 

피부까지 세세하게 보정하려니 사진보정하는 느낌이 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