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Note

종이 소재 및 발주 / 리얼클래스 학습후기 23일차

by tea 2024. 7. 10.
반응형


📙 class

엽서, 포스터 제작을 위한 종이 소재 및 발주 방법

  • 다양한 종이의 소재
  • 기본적으로 종이 규격의 그램 수는 숫자가 커질수록 종이가 두꺼워지고, 가격은 올라간다.
  • 일반지의 아트지는 가장 많이 쓰이는 인쇄용지 중 하나로, 매끈하고 광택이 있는 표면에 컬러 발색력이 좋은 종이 중 하나. 가격이 저렴해 전단지나 팜플렛 등 다양한 용도에 많이 사용되는 종이.
  • 스노우지도 아트지와 동일한 용도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용지 중 하나인데, 가격이 저렴하고 표면이 매끈하지만 아트지에 비해 표면에 광택이 없는 차분한 느낌의 무광 용지.
  • 모조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이 중 하나로 다이어리나 책의 내지로 많이 사용되며, 일반 복사 용지의 텍스처로 가격이 저렴해 가성비가 뛰어나다. 표면에 광택이 없어 잉크가 빨리 흡습되는데 잉크를 많이 흡수해서 그런지 스노우지와 아트지에 비해 블랙 같은 진한 컬러의 발색이 조금 떨어지는 편.
  • 반누보는 표면에 광택이 없는 고급 용지로 기본적으로 종이 자체가 약간 미색의 따뜻한 컬러감으로 엠보가 없는 매끈한 표면에 컬러 발색이 좋아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 랑데뷰는 용지 표면에 약간의 엠보가 있고 대중적인 용지면서도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느낌의 종이로 컬러 발색이 뛰어나 다른 종이들에 비해 색상이 또렷하게 인쇄되고 엽서나 포스터, 책 표지나 내지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 종이.
  • 몽블랑은 랑데뷰와 유사하게 고급스러운 질감의 용지로, 표면에 엠보가 있어 볼륨감이 특징이며 색감 표현이 뛰어난 용지다. 랑데뷰가 건조하고 바삭한 촉감이라면 몽블랑은 좀 더 부드러운 느낌. 가격 대비 고급스럽지만 잉크가 흡습되는 속도가 느려 인쇄 후 말리는데 시간이 조금 소요된다.

제작 파일 세팅

@레드프린팅

 

재단 사이즈: 재단되어 나오는 최종 제품 사이즈

작업 사이즈: 재단 여분을 포함한 사이즈 (의뢰인이 작업해야 하는 사이즈)

  • 엽서나 포스터의 지제류 제품들은 모두 인쇄를 한 후 재단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자르는 과정을 위한 여분을 남겨주어야 한다. 엽서나 포스터 뿐만 아니라 책이나 다이어리, 원단 인쇄 등 출력과 재단을 거치는 제품 제작이라면 필수로 필요하고 이 여분으로 남겨주어야 하는 사이즈도 업체마다 다르거나 어떤 제품을 제작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이트마다 확인 후 시안 작업을 진행할 것.
  •  지제류 인쇄 파일의 경우, 인쇄 후 제단하는 경계면의 오차 범위 값을 고려하여, 파일 작업 시 사방에 여분 영역 사이즈까지 추가하여 아트보드를 생성해 작업해 주어야 한다.
  • 사이즈 가로 100mm, 세로 150mm / 양면 엽서 3장을 위한 세팅
  •  

  • 20mm간격에 아트보드가 두 장씩, 총 여섯 장의 세팅
  •  

  • 만약 이 아트보드 사이즈를 변경하고 싶다면, 상단의 Document setup > Edit Artboards를 눌러 사이즈 변경
  • 지금 100*150의 사이즈에 여분 2mm씩/사방에 4mm를 추가해주어야 하니 가로 104*세로 154사이즈의 작업 사이즈의 사각형 오브제를 만들어 도형 사이즈에 맞게 사진을 클리핑마스크해 준다.
  • 왼쪽에 엽서의 앞면이 될 이미지들을 넣어 주고,. 오른쪽에 엽서의 뒷면을 넣어 준다.

 

  • 엽서 발주를 위한 파일 세팅 준비가 되면 >  일반적으로 PDF확장자 파일 저장으로 출력을 위한 발주 세팅을 한다
  • Ctrl + Shift + S로 별도 저장 창에서 PDF 저장 
  •  

  • Press Quality 출판 품질 선택, 호환성은 PDF 1.5
  • 일러스트레이터 편집 기능 보존 체크 해제 / 아래 상위 레벨 레이어세서부터 아크로뱃 레이어 만들기 옵션 체크

  • Marks and Bleeds에서 Use Document Bleed Settings을 체크해 만들어준 여백을 사용하는 걸로 저장하면 발주를 위한 파일저장 완료.
  • PDF 파일 저장시에는 출판 품질 설정이나 재단 여백 사용 여부 등, 인쇄 업체의 기준에 맞는 옵션들로 설정하여 저장
  • 작업을 끝낸 파일을 업체에 보내거나 주문사이트를 통한 업로드로 발주가 완료되고 업체 측에서 파일의 이상 여부 체크 후 제작진행.

 

 

포스터 제작 파일 작업부터 발주 5장

  • 앞서 진행한 엽서 발주 과정에서 사이즈나 해상도, 양면 인쇄 여부 등의 세부 차이점들만 포스터 기준에 맞게 조정하여 진행.
  • 오히려 뒷면을 따로 만들어 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 쉬울 수 있다.
  • New document > print > A3 / Artboards 5. Bleed 2 / more setting > spcing 20. Columns 5
  • A3사이즈에 여백을 더한 가로 301mm 세로 424mm사이즈의 오브젝트를 만들어 클리핑 마스크

 


강의후기

(당연하게도) 제작방법이 다 달라서 인쇄에 애먹었던 나에게 도움이 된 파트..! 첨에 별 기대 없이 들었는데 필요한 부분만 쏙쏙 있는 것 같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