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권이란 금융에서 유가 증권의 하나로 지급청구권이 표시된 채무증권. 일반적으로 1년에 얼마의 이자로 돈을 갚을지 정하도록 되어 있다.
돈을 빌리고 만기일까지 이자와 원금을 갚는 것
- 원금: (꾼 돈 등의) 이자를 제외한 원래 액수
- 이자율: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간략히 줄여서 이르는 말. 일반적으로 채권의 이자율은 1년 기준으로 정해져 있다.
=>( 채권의 이자율이 3%라면, 매년 원금의 3%를 이자로 납부해야 함)
- 만기: 원금이 상환되는 시점
일반적인 채권=고정금리: 돈을 빌리고 갚는 동안 이자율이 변하지 않으며, 채권을 사고 팔 수도 있다. 채권을 팔고 나면 채권을 산 사람에게 이자와 원금을 지불하는 것.*
채권은 고정된 원금과 이자가 있기 때문에 미래에 받을 돈이 정해져 있다. 이자율이 높을수록 좋은 상품
금 같은 희귀 금속은 안전자산으로서의 가치가 있어서 전 세계적 위험이 발생할 때마다 가격이 상승한다. (빠르고 크게)
-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이 있을 때
- 정치ㅣ적으로 불안할 때 등
그러나 금은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실물로 사도 되고, 그러지 않아도 된다.
차근차근 알아가는 제테크 입문 2일차도 마무리!
728x90
'Study >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ETF/ETN / 제테크 입문 4 (0) | 2024.07.18 |
---|---|
통화와 원자재 / 제테크 입문 3일차 (0) | 2024.07.17 |
재테크 입문 학습후기 (0) | 2024.07.15 |
리얼클래스 학습일기 타일러영어 28일차 중간점검 (1) | 2024.07.14 |
상세페이지 / 리얼클래스 학습후기 26일차 (0) | 202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