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화는 투자 상품으로서 접근하면 안 된다. 물물 교환의 개념에서 물건은 매번 가치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는 비율을 정하는 것은 불가
신용 경제: 돈도, 상품도 약속인 세상
원자재는 산업에 사용되는 모든 원료로 실제로 존재한다. 원자재 안에 희귀 금속이 포함되기도 한다.
원자재를 투자 상품으로 봤을 때, 원자재 가격 변동 원인은 생산과 산업이 있다. (산업이 원자재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주게 된다) 산업이 잘 될수록 > 원자재도 많이 쓰인다 > 가격 상승
원자재의 문제점: 뚜렷한 장기적인 가격의 방향성이 없다. 채권, 부동산, 희귀 금속처럼 가격이 꾸준히 상승해 오지 않았다(=원자재 장기 투자는 무의미)
가격 변동성이 주식보다 크다.
원자재는 난이도가 매우 높은 시장!
------
통화는 교환의 개념에서 시작해 돈이 탄생했고, 돈을 이용하면서 그 돈을 어느 비율로 교환해 줄지 정하는 것이 필요해지며 환율이라는 개념이 탄생했다. 통화는 말 그대로 종이쪼가리일 뿐이며 교환의 수단과 자산의 차이는 분명히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728x90
'Study >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IT, 파생상품 / 제테크 입문 5 (0) | 2024.07.19 |
---|---|
암호화폐, ETF/ETN / 제테크 입문 4 (0) | 2024.07.18 |
채권과 희귀금속 / 제테크 입문 2일차 (0) | 2024.07.16 |
재테크 입문 학습후기 (0) | 2024.07.15 |
리얼클래스 학습일기 타일러영어 28일차 중간점검 (1) | 202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