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점 조명은 영화, 사진 등과 같은 시각 매체에서 쓰이는 기본적인 조명 방법으로
주로 스튜디오와 같은 실내 촬영에서 조명을 세팅하면서 빛을 만들어내는 방법
빛의 세기와 위치에 따라 키 라이트, 필 라이트, 백 라이트로 나뉨
키 라이트
피사체를 비추는 가장 밝은 메인 조명으로
보통 피사체의 45도 각도에 배치되기 때문에 피사체에 그림자를 만든다.
야외에서의 촬영에서는 태양이 키 라이트가 될 수 있다.
필 라이트
이름 그대로 피사체의 어두운 부분을 채워 주는 보조광
주광에 의해 그늘진 부분을 비추어 명암의 대조를 줄이거나 없애는 효과를 주는 역할
백 라이트
피사체를 뒤쪽에서 비추는 조명
백 라이트는 키 라이트와 반대 방향에 배치하게 되는데 배경과 피사체를 분리시켜 피사체를 돋보이게 해주는 역할
하나의 피사체를 두고 확인해 보면 키 라이트가 될 수 있는 오른쪽에 위치한 조명을 켜고 필 라이트가 될 수 있는 왼쪽에 위치한 다른 조명을 켜고 백 라이트가 될 수 있는 뒤쪽 전등을 켜면 이렇게 입체감이 느껴지는 피사체를 담을 수가 있다.
낮 시간대의 촬영
햇빛이 쨍쨍한 맑은 날 혹은 낮 시간대의 촬영은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자연광으로 상대적으로 쉽게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사광 촬영처럼 정면에서 빛이 들어오는 공간보다는 측면에서 빛이 들어오는 위치를 잡고 촬영 하면 빛이 은은하게 들어오면서 분위기 있는 장면이 될 수 있다.
또는 뒤쪽 창문에서 들어오는 빛을 백라이트의 역할로 장면을 담아 주기.
밤 시간대의 촬영
상대적으로 빛이 부족한 밤에는 빛의 색감이 가장 중요한데, 집 천장에 있는 불 - 세기가 강한 하얀 빛으로 촬영하는 건
감성 영상과 맞지 않다. 주황빛이 도는 조명만 활용해도 다른 분위기의 영상이 되거나
뒤쪽 창문에서 들어오는 빛을 백라이트의 역할로 담아 주면 훨씬 더 예쁜 장면이 될 수 있다.
조명 활용 방법
주로 세 가지의 조명을 활용하는데, 주방탁자 전등과 ㅅ거실 소파 양쪽의 조명으로
가장 중요한 조명 활용방법은 피사체의 측면 혹은 뒤쪽에 조명을 켜 두는 것이다.
애매하게 밝아도 영상이 금세 지저분해지는 것 같은 조명ㅜㅜㅜ
고민을 많이 해봐야할 것 같다
'Study >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컷편집 / 영상제작 18 (0) | 2024.08.16 |
---|---|
피부, 톤 보정 / 영상제작 17 (0) | 2024.08.15 |
영상을 더욱 풍성하게 해주는 촬영법 / 샷 / 영상제작 15 (1) | 2024.08.13 |
빛과 그림자 활용 / 영상제작 14 (0) | 2024.08.12 |
계절에 맞는 순간 기록 / 영상제작 13 (0) | 2024.08.11 |